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카를 융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카를 융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ˈkarl ˈgʊstaf ˈjʊŋ], 1875년 7월 26일 - 1961년 6월 6일)은 스위스정신의학자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이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지 않고 바젤 대학교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부르크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의 연구를 응용해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전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 검사를 응용하면서 자극어에 대한 단어연상을 연구하였다. 이 연상은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당시 학계에서 자주 금기시 되고는 하였다.

그는 특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은 유명해진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해 이에 관련된 학설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 연구를 하기도 했지만 프로이트의 성욕중심설말고도 알프레트 아들러의 사회심리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13년을 전후해서 독자적으로 이들의 양립에관한 연구로 분석심리학설을 작업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그는 인간의 내면에는 의식과 무의식의 층들이 있다고 생각하였지만 한걸음 더나아가 특히 개체로 하여금 내면의 무의식들이 통일된 전체를 실현하게 하는 자기원형이 초월적 기능(transcendental function)이 있음을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심리치료법을 개발하여 이론화하였고 심리치료를 받는 사람들에게 '개체화'(individuation, 또는 자기실현)라고 하는 자신의 신화를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좀더 유연하고 온전한 인격체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1914년 사임하기까지 국제정신분석학회 회장을 역임한바있으며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ürich)의 심리학 교수, 바젤 대학교의 의학심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었고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생애

카를 융의 부친은 폴 융으로 바젤에서 저명한 약학교수였던 카를 구스타프 융(1794-1864)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폴 융은 경제적인 성공을 원했지만 이루지 못했고, 스위스 개혁 교회의 작은 시골 목사로 평생 지냈다. 카를 융의 모친인 에밀리 프레이스바크는 5세기 이상 스위스에 거주한 후손으로 바젤의 기독교도이며 학자였던 사무엘 프레이스바크의 둘째 아내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사무엘은 바젤에 있는 개혁교단의 대표에게 주어지는 지위를 가졌었고, 바젤 대학의 히브리어 학과 교수이며 작가였다. 융의 부친인 폴 융은 융이 6살 때 라우펜에 있는 더 큰 교구로 임명되었으며 그 때, 그의 아내와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융의 모친은 성격이 특이했으며 우울증을 겪었고, 침실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고, 밤에 귀신을 보았다는 등의 착란을 보였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와의 교류

융은 프로이트와 지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교류하였다. 1900년대 초기에는 심리학이 학문으로 보여지기에 초기단계였지만, 융은 프로이트의 새로운 "심리-분석"에 대해 전적으로 옹호하였다. 그 당시 프로이트는 그의 사상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 협력자를 필요로 하였다. 융은 1907년 3월 3일 프로이트를 비엔나에서 처음 만났다. 6개월이 지난 후 50세의 프로이트는 그의 최근 에세이를 쮜리히에 있는 융에게 보내었고, 그 후 6년동안 많은 교류가 진행되었다.

융의 심리학

융은 한 개인의 의식무의식 그리고 집단무의식이 대립구도(enantiodromia)를 이루면서 이러한 대립속에서 끊임없이 조화를 향해 역동적으로 움직인다는것을 인식했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학적 연구가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길일 것으로 여겼다.

한편 이러한 맥락에서 융은 인간이 겪는 괴로움과 고통이 심리적 사회적 성숙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로서 삶에 대한 겸손(humble)을 주요하게 언급한 바 있다.

주요 개념

융의 분석심리학 분야의 주요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 애니마 와 애니무스 - 사람의 프쉬케의 상대의 성을 뜻한다. 여성의 프시케의 경우, 그녀의 개인의 내적 남성성은 하나의 복합체와 원형의 이미지 둘 모두를 갖고 있다. 반면, 남성의 프쉬케의 경우, 그의 개인의 내적 여성성은 하나의 복합체와 원형의 이미지 둘 모두를 갖고 있다.
  • 원형 (Archetype) - 인류학에서 빌려온 개념으로 전인류적인 정신적 이미지 또는 테마를 뜻하며 시간에 따라 변한다.
  • 원형 이미지 - 프쉬케에서 양 극단들을 중개할 수 있는 전인류적인 상징으로 문화를 넘나드는 종교적 예술, 미신, 동화들에서 나타난다.
  • 집단 무의식 - 다른 문화들에서 사람들이 겪는 무의식의 양태들
  • 콤플렉스 - 인지와 행동을 다스리는 이미지와 경험들의 억압된 조합
  • 외향성 과 내향성 - 심리적 형태에 기여하는 개방 또는 내성적인 정도의 성격의 특징
  • 개성화 (individuation) - 각자 개인이 의식 또는 무의식을 부정하지 않는 완성화의 과정이며 의식과 무의식을 모두 정당하게 다룬다.
  • 페르소나 - 적응 또는 개인의 편리함을 위해서 나타나는 성격의 한 면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얼굴에 쓰는 마스크들이다.
  • 그림자 - 주로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포함한 성격의 단면들로 억압되어 있어서 잘 모른다.
  • 자기, 셀프 - 개성화 과정을 지배하는 중심 개념으로 여성과 남성을 일치시킨 만다라로 상징화된다. 융은 이것을 프쉬케의 주요 원형으로 보았다.

신에 대한 언급

융의 묘비명에는 "부르든 부르지 않든, 존재할 것이다"고 적혀 있다. 그는 신에 대해서 그의 생각을 "나는 그분을 믿는 게 아니라, 그분을 압니다."라고 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한 바 있다.

The meaning of my existence is that life has addressed a question to me. Or, conversely, I myself am a question which is addressed to the world, and I must communicate my answer, for otherwise I am dependent upon the world's answer. That is a superpersonal life task, which I accomplish only by effort and with difficulty. <Memories, Dreams, Reflections, 1962> (Chapter 11-On Life after Death, P318)
내 존재의 의미는 삶이 나에게 질문을 전해왔다는데에 있다. 혹은, 거꾸로, 내 자신이 세계에 전해진 질문인 것이고, 세상의 답에 종속되지 않기 위하여, 나는 나의 대답과 소통해야 한다. 이건 초개인적 삶의 임무이고, 나는 이것을 오직 노력과 어려움으로 이뤘다. <기억들, 꿈들, 반영들> (11장-죽음 뒤의 삶에 대하여, P318)
Here is the greatest and smallest, the remotest and nearest, the highest and lowest, and we cannot discuss one side of it without also discussing the other. No language is adequate to this paradox. Whatever one can say, no words express the whole. (Chapter 12-Late Thoughts III ,P354 MDR)
여기에는 가장 거대한 것과 가장 조그마한 것,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과 가장 가까이 있는 것, 가장 높은 것과 가장 낮은 것이 있다. 우리는 그 나머지 또한 논의하는 것 없이 이러한 것의 한쪽 편만을 논의할 순 없다. 이런 모순에 언어는 충분하지 않다. 누군가는 무언가를 말할 수 있겠지만, 단어는 전체를 표출하지 않는다. <기억, 꿈, 반성들> (12장-후기의 생각들 III, P354)
The fact, therefore, that a polarity underlies the dynamics of the psyche means that the whole problem of opposites in its broadest sense, with all its concomitant religious and philosophical aspects, is drawn into the psychological discussion. (Chapter 12-Late Thoughts II ,P349-350 MDR)
그러므로 극성이 정신의 역동성의 기초가된다는 사실은 그 대립물의 전체적인 문제를 종교적, 철학적 측면 모두를 포함하는 가장 넓은 의미를 갖는 심리학적인 논의로 끌어들인다. - 기억, 꿈, 반사상 12장 최종 사변 II - P349~350

집단무의식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the sediment of all the experience of the universe of all time, and is also an image of the universe that has been in process of formation for untold ages. In the course of time certain features have become prominent in this image, the so-called dominants. These dominants are the ruling powers, the gods; that is, the representations resulting from dominating laws and principles, from average regularities in the issue of the images that the brain has received as a consequence of secular processes.(Collected Papers on Analytical Psychology 1917- CHAPTER XIV THE PSYCHOLOGY OF THE UNCONSCIOUS PROCESSES - IX(VERSE) The Dominants of the Super-Personal Unconscious P432)
집단적 무의식은 모든 시간의 우주에 대한 모든 경험의 축적물이며, 또한 말할것도 없이 여러 세대 동안 형성되어 온 우주의 이미지이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이미지가 이 이미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소위 우성인자(dominants)입니다. 이 우성인자들은 지배 세력, 신들입니다. 즉 뇌가 세속적인 과정의 결과로 받은 이미지의 문제에 있어서 평균적인 규칙성으로부터의 법률과 원칙을 지배함으로써 생겨난 표현입니다.(분석심리학논문집 14장9절 초인격적인 무의식의 우성들 P432)


장자의 꿈

But then I front of the altar, facing me, sat a yogi in lotus posture, in deep meditation. When I looked at him more closely, I realized that he had my face. I started in profound and awoke with the thought: "Aha, so he is the one who fright, is meditating me. He has a dream, and I am it." I knew that when he awakened, I would no longer be. (Memories, Dreams, Reflections - Chapter 11-On Life after Death, P323)
그런데 제 앞에 있는 제단에서 저를 향해 요기(Yogi)가 연꽃 자세에서, 깊은 명상에 빠져 앉아있었습니다. 내가 그를 더 자세히 보았을 때, 나는 그가 내 얼굴을 가졌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나는 심취하기 시작했으며 생각과 함께 깨어났습니다. '아, 그는 공포에 빠져서 나를 명상하고있다. 그는 꿈이었다, 나는 지금 깨어있다.' 나는 그가 깨어 났을 때 나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한편 장자는 자신을 '나비의 꿈'으로 언급한바있다.

昔者莊周夢爲胡蝶,栩栩然胡蝶也。自喻適志與!不知周也。俄然覺,則蘧蘧然周也。不知周之夢爲胡蝶與胡蝶之夢爲周與?周與胡蝶,則必有分矣。此之謂物化。 (莊子 內篇 第二 齊物論)
예전에 장주는 꿈 속에서 나비가 되었다. 너무나 좋았고 황홀한 나비가 되어 있었다.스스로도 즐거워서 마음 따라 팔랑팔랑 춤추고 있었다. 내가 나인지 몰랐다. 깜짝 깨보니, 어라 장주다. 지금 장주의 꿈 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나비의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장주와 나비에는 확실히 구별이 있을 것이다. 이것이 물질의 변화라는 것이다. (장자 내편 제물론)

저서

종교 관련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참고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