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탄트라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Vajrayogini</img>
Sri Yantra</img>
Chakra</img>
Kalacakra</img>
Yab Yum</img>
탄트라 예술.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바즈라요기니 (불교), 스리 얀트라 (힌두), 차크라 일러스트레이션, 찰라차크라 만다라, 다키니

탄트라(/ˈtæntrə/ ; 산스크리트어: तन्त्र, lit.'loom, weave, warp')는 힌두교불교 모두에서 CE 1천년 중반부터 인도 아대륙에서 발전한 난해한 요가 전통을 의미한다.인도 전통에서 탄트라라는 용어는 체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문헌, 이론, 체계, 방법, 도구, 기술 또는 관행"을 의미하기도 하다. 이러한 전통의 주요 특징은 만트라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힌두교에서는 만트라마르가("만트라의 길")라고 하며 불교에서는 만트라야나("만트라 차량") 및 구야만트라("비밀 만트라")라고 한다.

공통 시대의 초기 세기부터 비슈누, 시바 또는 샤크티를 중심으로 새롭게 드러난 탄트라가 등장했다.시바 싯단타 전통, 스리 비드야샤크티파, 카울라카슈미르 시바파와 같은 현대 힌두교의 모든 주요 형태에는 탄트라 계보가 있다.

불교에서 밀교 전통은 인도 탄트라 불경에 기반을 둔 탄트라 사상과 관행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인도-티베트 불교, 중국 밀교, 일본 진언종 및 네팔 네와르 불교를 포함한다. 남방 밀교는 탄트라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그 수행과 사상은 탄트라와 유사하다.

탄트라 힌두교와 불교 전통은 자이나교, 티베트 뵌교 전통, 도교, 일본 신토 전통과 같은 다른 동양 종교 전통에도 영향을 미쳤다.

푸자와 같은 비베다 숭배의 특정 방식은 개념과 의식에서 탄트라로 간주된다. 힌두 사원 건물도 일반적으로 탄트라의 도상학을 따른다. 이러한 주제를 설명하는 힌두교 텍스트를 탄트라, 아가마 또는 삼히타라고 한다. 불교에서 탄트라는 인도의 역사적인 동굴 사원과 동남아시아의 예술뿐만 아니라 티베트와 동아시아 불교의 예술과 도상학에 영향을 미쳤다.

인용주

참조주

참고 문헌

 

추가 자료

 

  • Bhattacharyya, N. N. (1999). 《History of the Tantric Religion》. New Delhi: Manohar. ISBN 978-81-7304-025-2.  Second Revised Edition
  • Davidson, Ronald M. (2003). 《Indian Esoteric Buddhism: A Social History of the Tantric Movemen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81-208-1991-7. 
  • Frawley, David (1994). 《Tantric Yoga and the Wisdom Goddesses: Spiritual Secrets of Ayurveda》. Lotus Press. ISBN 978-0910261395. 
  • Frawley, David (2008). 《Inner Tantric Yoga: Working with the Universal Shakti》. Twin Lakes, WI: Lotus Press. ISBN 978-0-9406-7650-3. 
  • McDaniel, June (2004). 《Offering Flowers, Feeding Skulls: Popular Goddess Worship in West Beng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Mookerji, Ajit (1997). 《The Tantric Way: Art, Science, Ritual》. London: Thames & Hudson. 
  • Norbu, Chögyal Namkhai (1999). 《The Crystal and The Way of Light: Sutra, Tantra and Dzogchen》. Snow Lion Publications. ISBN 978-1-55939-135-1. 
  • White, David Gordon (1998). 《The Alchemical Body: Siddha Traditions in Medieval Indi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Yeshe, Lama Thubten (1987). 《Introduction to Tantra:The Transformation of Desire》 2001, revis판. Boston: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162-9. 

외부 링크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