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정신 질환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Entete médecine.png
정신 질환
다른 이름 정신병, 정신 장애
psychiatric disorder, psychological disorder, mental illness, mental disease, mental breakdown, nervous breakdown
Mental Disorder Silhouette.png
진료과 정신의학, 임상심리학
증상 초조, 불안, 우울증, 조증, 편집증, 정신증
합병증 인지기능장애, 사회 문제, 자살
유형 불안장애, 식사장애, 기분장애, 신경 발달 장애, 인격장애, 정신증, 물질 사용 장애
병인 유전환경 요인
치료 심리요법, 약물
투약 항우울제, 항정신병제제, 항불안제, 기분안정제, 각성제
빈도 매년 18% (미국)
8명의 여성이 정신 감정을 받고 있는 모습 (19세기, 아르망 고티에(Armand Gautier))

정신 질환(精神疾患, 영어: mental disorder, mental illness, psychiatric disorder) 또는 정신병(精神病), 정신 장애(精神障碍)는 개인적, 사회적 기능에 있어서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정신적인 이상 상태(mental breakdown)을 가리킨다.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질환에 따라 평생에 걸쳐 장애를 일으키기도 하며,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발병에서 그치기도 한다. 원인은 불명인 경우가 많지만, 밝혀진 것들은 대부분 선천적인 의 문제나 심각한 스트레스적 상황에 큰 영향을 받아 발생한다.

정신질환으로 생긴 성격 변화 역시 근본적인 성격이 변하게 되었다면 치료로도 복원할 수 없다. 언더도그마와 달리 정신적 문제가 있는 인간의 재범률은 일반적인 범죄자보다 높은 편이다. 저급하고 비천한 인간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환경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뇌를 가질 수 있으며 도덕성이나 양심은 물론 제대로 된 가치관 자체가 없을 확률이 높다.

정신병이 있는 가족이 있다면 공유 정신병 같은 질환에 걸릴 확률이 올라간다. 예를 들자면, schizophrenogenic mother 같은 파괴적인 충동에 사로잡힌 어머니가 있는데, 이런 어머니는 남편이나 타인으로부터 받은 열등감과 피해를 약하고 보복 가능성이 적은 자식에게 푸는 경우가 많다. 하류층에는 아버지 역시도 이런 사람들이 많으며 이런 부모 밑에서 자라면 정상인 것처럼 보여도 실은 정신병자인 사람이 될 확률이 높다. 일반적으로 부모 또는 보호자는 자식에게 심각한 심리적 피해를 줄 수 있는 힘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는 자식이 일반적으로 부모를 사랑하기 때문이며 그런 사람은 오히려 자신을 비난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 개인 소지품 파괴나 일방적인 요구, 치욕이나 답정너와 같은 의사소통 거부가 지속되면 자식에게 극심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정신적 피해가 지속되는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폭행이나 강간을 당한 수준의 정신적 피해를 입을 수 있어서 정신병자가 될 확률이 있다.

정의 및 분류

정신 질환은 그 특성상 '이상'의 범위가 인위적으로 정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질환에 비해 정의의 논란이 많다. 이에 따라 정신질환의 정의·구분은 다양한 연구와 비판적 검토를 거쳐 완성되어야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공인된 기관인 세계보건기구와 미 정신의학회에서 발표된 ICD, DSM 목록이 일반적인 기준으로 쓰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1938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하는 국제질병분류(ICD)의 제5판에서 처음 정신질환(mental disorder)이 리스트에 추가된 이후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쳤으며, 현재는 제10회 개정판인 ICD-10챕터 V가 여러 나라에서 세부적 분류에 사용되고 있다.

미국정신의학회

한편 미국정신의학협회(ASA)에서는 1952년 첫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곧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을 발표하였고, 현재는 제5회 개정판인 DSM-5까지 발표되어 있다. 기능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문제를 일으키느냐를 기준으로 진단의 정확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어 유용한 진단 매뉴얼로 널리 채용된다.

대한민국 장애인복지법

현행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조현병, 양극성 정동장애(조울증), 반복성 우울장애, 우울장애로 인해 1년 이상 지속적인 치료를 받았음에도 호전의 기미가 전혀 없는 경우에 '정신장애'(精神障碍)로 인정하여 복지나 사회활동에 여러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는 별도의 장애로 인정되고 있다. 한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는 ICD를 참고하고있는 공식적인 한국 표준 질병사인 분류체계이다.

유형

치료

일반적으로 정신질환은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통해 증상의 완화나 완치가 가능하다. '우울증은 정신력이 약한 사람이나 걸린다', '약물치료를 하면 중독되거나 지능이 떨어진다'는 등 여러 오해로 인해 치료가 저해되기도 한다. 약물 치료의 경우 모든 약물이 모든 상황에서 그런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항우울제, 항정신병 약물, 기분안정제, 항불안제 등의 약물은 약간 졸리거나 머리가 멍해지는 부작용이 있지만 차츰 그것이 사라진다. 부작용과 중독성을 줄이기 위해 약물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 정신과 약물은 중독성이 없다.

대한민국에서는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대부분 정신질환은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2015년 기준 15,000원 정도의 진찰료, 1-3만 원 가량의 정신치료비, 일 평균 3,000원 정도의 약물치료비가 든다. 우울증 초진 건강보험 대상자의 치료에 한달 15만 원이 든다고 할 때 본인 부담은 6-8만 원 가량이다. 2016년 1월 1일 기준 금융감독원이 실손의료보험 보장 범위가 우울증,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등으로 확대되도록 표준 약관을 개정했다. 타인 또는 타 기관으로의 진료 기록 제공은 본인 동의 또는 법에 명시된 예외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경우에도 금지되어 있다. 예컨대 치료를 받았던 사람이 취업하는 경우 회사 측에서 임의로 정신질환에 대한 의무기록을 조회할 수 없다.

오해

대부분의 정신질환은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가벼운 우울증의 경우는 완치가 가능하다. '우울증은 정신력이 약한 사람이나 걸린다', '약물치료를 하면 중독되거나 지능이 떨어진다'는 등 여러 오해로 인해 치료가 저해되기도 한다. 약물 치료의 경우 모든 약물이 모든 상황에서 그런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항우울제, 항정신병 약물, 기분안정제, 항불안제 등의 약물은 약간 졸리거나 머리가 멍해지는 부작용이 있지만 차츰 그것이 사라진다. 부작용과 중독성을 줄이기 위해 약물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 정신과 약물은 중독성이 없다. 치료약의 중독성에 관한 오해와 달리 정신병약에는 중독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으며 주로 신경증 환자가 아니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중독성이 있는 마약을 치료제로 사용하면 신경증 환자가 아니어도 약에 중독될 수 있다.

담배는 일반적으로 안 좋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신병자에 한해서는 좋을 수도 있다. 정신병자의 흡연율은 일반인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의외로 담배가 정신병자에 한정해서는 순기능을 하기도 한다. 니코틴도파민 분비를 자극해서 증상을 감소시키며 환청을 줄인다는 보고도 있다. 더구나 담배는 정상적인 뇌세포는 물론 비정상적인 뇌세포도 파괴하여 청소율을 증가시키므로 일시적으로 정신질환을 완화하고 인지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조헌병에 걸린 사람에겐 담배가 질병의 증상을 감소시키고 인지를 향상시킨다는 연구가 있다. 물론 근래에 개발된 클로자핀 같은 항정신병 약을 복용할 경우 딱히 흡연의 순기능이 필요하지는 않다.

술은 여러 질병에 있어 담배보단 좋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신병의 경우에는 재수가 없으면 알코올중독과 조현병 같은 병을 추가로 걸릴 수도 있으니 과음을 피하는 게 좋다. 카페인이 든 음료인 커피도 약과 함께 복용할 경우 정신병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당연히 콜라와 같은 음료도 가능하면 먹지 않는 편이 좋다.

영화나 드라마에선 정신병자처럼 행동하는 상류층 범죄자들이 꽤 많이 나오나 실제로는 그런 사람들은 경찰이나 검찰 기준으론 비상류층에 훨씬 많다. 이는 인구 대비로 봐도 마찬가지이다. 정신질환에 걸린 범죄자들 대다수는 물질적 혹은 정신적 가난을 경험했을 확률이 높다.

술이나 마약만이 정신병의 원인은 아니며 이상하게 살면 대뇌나 중뇌 변연계 등에 이상이 생겨서 인지장애가 되거나 정신병에 걸릴 수 있다. 뇌에 충격을 주거나 일부를 파괴하는 신체적인 폭력은 물론 정신적인 교육이나 문화 등도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다. 뇌는 의외로 망상과 현실을 잘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만화를 볼 때도 망상임을 인지하지 않으면 정신적 외상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뇌세포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나는 정신적 부작용으론 정확하지는 않으나 주로 전두엽은 논리, 수학, 과학적 기능이 감소하거나 인내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변연계는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성적인 집착이나 저급한 욕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해마는 기억력이 쇠퇴하며 소뇌는 감각이 무뎌지고 운동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뇌에 문제가 생긴 정신병자는 착하다는 편견과 달리 예민함이나 공격적 욕구가 증가할 수 있으며 남을 쉽게 믿지 못하고 높은 피해의식과 더불어 매사에 두려움을 갖고 불안해하거나 심한 이기성이 발현될 수 있다. 많은 정신병은 부정적 감정을 다루는 기능과 이성적 판단력을 저하시키며 뇌신경 변화를 통하여 성격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자기중심적이고 부정적 편향에 민감한 인간을 탄생시킨다. 정신병자의 자식은 정신병을 지니고 태어날 확률이 있으며 가족은 특히 정신병자의 영향력이 강하면 가족병이 유발되기 쉽다. 그들은 가족의 역기능을 경험하기도 하며 정신병자를 돌보기 때문에 착하다는 편견과 달리 파괴적인 성향을 가질 수 있으며 정신적, 감정적 결함을 지닌 상태로 살아갈 확률이 높아진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