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연골무형성증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Entete médecine.png
연골무형성증
다른 이름 Achondroplasia
Jason Acuña - Wee-Man - Waterfront Marriott, Portland, Oregon - August 15, 2009 - Full Body.jpg
스턴트 배우 제이슨 "위 맨" 아쿠나
발음
진료과 의학유전학
증상 짧은 팔다리, 큰 머리, 눈에 띄는 이마
합병증 귀감염, 과다앞굽음, 추간원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수두증
병인 FGFR3 유전자 변이
진단 방식 증상에 의거. 불확실한 경우 유전자 검사
유사 질병 연골 형성저하증, 치사성이형성증, 연골털형성저하증, 가연골무형성증
치료 지지집단, 생장 호르몬 치료, 합병증 치료
예후 평균 수명 10년 단축
빈도 27,500명 중 1명

연골 무형성증(軟骨無形性症, achondroplasia)은 유전 질환의 하나로 왜소증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이 질환을 가진 성인의 평균 신장은 짧아, 약 120 ~ 130 센티미터이다. 또한 팔다리가 짧으며, 머리가 크고 이마가 튀어나왔다. 대개 생명에는 큰 지장이 없다. 발병빈도는 신생아 25000명에 한명으로 나타나며, 태어나기 전에 초음파 검사로 확인이 가능하다.

증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불균형성 왜소증
  • 몸중심부로부터 짧은 팔과 다리
  •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
  • 큰 머리와 척추후만증과 척추전만증
  • 수두증

원인

연골무형성증은 상염색체에서 우성으로 유전되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3(FGFR3) 변형으로 단백질 배열의 380번 위치에 있는 글리신아르기닌으로 바뀐 것이 발병의 원인으로 대체로 짧아진 뼈 형성으로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

출생 전 태아 상태에서 진단할 수 있는데, 양수검사 또는 융모막검사를 통한 유전자 검사로 FGFR3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있고, 임신 3기 이후에는 초음파를 이용해 태아의 긴뼈의 형태와 대칭성을 관찰하여 질병을 확인할 수 있다. 출생 후에는 전문의의 검사와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이 질환의 특징적인 골 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치료

연골무형성증의 원인으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3가 발견되었음에도 마땅한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며, 치료에는 성장호르몬이 사용되고 있지만 연골무형성증 환자에게 뚜렷한 효과가 없었으며 첫 1-2년까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이후에는 뼈의 성장이 감소하는 증상이 완화되지 않았다.

참고 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연골무형성증 [Achondroplasia] (희귀난치성질환 정보,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외부 링크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