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롤레인
아크롤레인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
| |||
|
| |||
| 이름 | |||
|---|---|---|---|
|
우선명 (PIN)
Prop-2-enal | |||
| 별칭
Acraldehyde
Acrylic aldehyde Allyl aldehyde Ethylene aldehyde Acrylaldehyde | |||
| 식별자 | |||
|
|||
|
3D 모델 (JSmol)
|
|||
| ChEBI | |||
| ChEMBL | |||
| ChemSpider |
|
||
| ECHA InfoCard | 100.003.141 | ||
| EC 번호 |
|
||
| KEGG |
|
||
|
PubChem CID
|
|||
| RTECS 번호 |
|
||
| UNII | |||
| UN 번호 | 1092 |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 C3H4O | |||
| 몰 질량 | 56.064 g·mol−1 | ||
| 겉보기 | Colorless to yellow liquid. Colorless gas in smoke. | ||
| 냄새 | Irritating | ||
| 밀도 | 0.839 g/mL | ||
| 녹는점 | −88 °C (−126 °F; 185 K) | ||
| 끓는점 | 53 °C (127 °F; 326 K) | ||
| Appreciable (> 10%) | |||
| 증기 압력 | 210 mmHg | ||
| 위험 | |||
| 주요 위험 | Highly poisonous. Causes severe irritation to exposed membranes. Extremely flammable liquid and vapor. |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Sigma-Aldrich SDS | ||
| GHS 그림문자 |
|
||
| 신호어 | 위험 | ||
| H225, H300, H311, H314, H330, H400, H410 | |||
| P210, P233, P240, P241, P242, P243, P260, P264, P270, P271, P273, P280, P284, P301+310, P301+330+331,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10, P312, P320, P321, P322, P330 |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 인화점 | −26 °C (−15 °F; 247 K) | ||
| 278 °C (532 °F; 551 K) | |||
| 폭발 한계 | 2.8-31% |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
LC50 (median concentration)
|
875 ppm (mouse, 1 min) 175 ppm (mouse, 10 min) 150 ppm (dog, 30 min) 8 ppm (rat, 4 hr) 375 ppm (rat, 10 min) 25.4 ppm (hamster, 4 hr) 131 ppm (rat, 30 min) |
||
|
LCLo (lowest published)
|
674 ppm (cat, 2 hr) |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
PEL (허용)
|
TWA 0.1 ppm (0.25 mg/m3) | ||
|
REL (권장)
|
TWA 0.1 ppm (0.25 mg/m3) ST 0.3 ppm (0.8 mg/m3) | ||
|
IDLH (직접적 위험)
|
2 ppm | ||
| 관련 화합물 | |||
|
관련 alkenals
|
Crotonaldehyde |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아크롤레인(Acrolein, 체계명: propenal)은 가장 단순한 형태의 불포화 알데하이드이다. 무색의 액체이며 콕 찌르는 매캐한 냄새를 띤다. 식용유를 발연점까지 가열시 지방이 타는 냄새는 지방이 아크롤레인으로 쪼개질 때 글리세롤에 의해 발생한다. 프로펜으로부터 산업적으로 생산되며 살생제 등에 사용된다.
역사
아크롤레인은 스웨덴의 화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에 의해 1839년 처음 명명되었으며 알데하이드로 규정되었다.
생산
아크롤레인은 프로펜의 산화를 통해 산업적으로 준비된다.
- CH2CHCH3 + O2 → CH2CHCHO + H2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