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연결효소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 DNA 연결효소 | |||||||||
|---|---|---|---|---|---|---|---|---|---|
|
염색체의 손상을 복구하는 DNA 연결효소의 모식도
| |||||||||
| 식별자 | |||||||||
| EC 번호 | 6.5.1.1 | ||||||||
| CAS 번호 | 9015-85-4 | ||||||||
| 데이터베이스 | |||||||||
| IntEnz | IntEnz view | ||||||||
| BRENDA | BRENDA entry | ||||||||
| ExPASy | NiceZyme view | ||||||||
| KEGG | KEGG entry | ||||||||
| MetaCyc | metabolic pathway | ||||||||
| PRIAM | profile | ||||||||
| PDB 구조 | RCSB PDB PDBj PDBe PDBsum | ||||||||
| 유전자 온톨로지 | AmiGO / QuickGO | ||||||||
| |||||||||
DNA 연결효소(영어: DNA ligase) (EC 6.5.1.1)는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촉매하여 두 DNA 가닥을 연결시키는 연결효소이다. DNA 리게이스, DNA 라이게이스라고도 한다. DNA 연결효소는 살아있는 생명체의 이중 가닥 DNA에서 단일 가닥의 파괴를 복구하는 역할을 하지만 일부 형태(예: DNA 연결효소 IV)는 이중 가닥의 파괴(즉, 상보적인 두 DNA 가닥의 파괴)를 특이적으로 복구할 수 있다. 단일 가닥의 파괴는 이중 나선의 상보적인 가닥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DNA 연결효소에 의해 복구되며, DNA 연결효소는 DNA를 완전히 복구하기 위해 마지막에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형성한다.
같이 보기
| 활성 | |
|---|---|
| 조절 | |
| 분류 | |
| 반응속도론 | |
| 종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