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풀뿌리 민주주의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녹색 정치 |
---|
![]() |
역사
• 현대 생태학 창시 (20세기 중반) •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1960년대) • 1968년 혁명 (1968년 5월) • 유엔 인간 환경 회의 (1972년) • 유엔 환경 계획 설립 (1973년) • 원자력 발전소 논쟁 (1970년대) •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성립 (1990년) • 유엔기후변화협약 시행 (1992년 3월) • Natura 2000 지정제 실시 (1992년 5월) • 교토 의정서 (1997년) |
관련 조직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멜랑숑 (1951년 ~ ) ![]() |
민주주의 관련 문서 둘러보기 |
민 주 주 의 |
---|
기본 형태 |
분파, 변형 |
관련 문서 |
풀뿌리 민주주의(영어: grassroots democracy)는 소수 엘리트 계급이 절대다수의 민중들을 지배하는 엘리트주의를 멀리하고, 평범한 민중들이 지역 공동체의 살림살이에 자발적인 참여를 함으로써 지역 공동체와 실생활을 변화시키려는 참여 민주주의의 한 형태이다. 특히 지방 자치와 분권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민주정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지역주민들이 지방의회의 예산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일에 참여하는 지역참여예산제가 풀뿌리 민주주의의 예이다. 1912년에 미국 공화당에서 분리된 진보당이 내건 이념 중 하나이며 1935년 미국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사용하면서 일반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