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클로로에틸렌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
| |||
|
| |||
| 이름 | |||
|---|---|---|---|
|
IUPAC 이름
Trichloroethene
| |||
| 별칭
1,1,2-Trichloroethene; 1,1-Dichloro-2-Chloroethylene; 1-Chloro-2,2-Dichloroethylene; Acetylene Trichloride; TCE; Trethylene; Triclene; Trico; Tri; Trimar; Trilene; HCC-1120
| |||
| 식별자 | |||
|
|||
|
3D 모델 (JSmol)
|
|||
| 약어 | TCE | ||
| ChEBI |
|
||
| ChEMBL | |||
| ChemSpider |
|
||
| ECHA InfoCard | 100.001.062 | ||
| EC 번호 |
|
||
| KEGG |
|
||
|
PubChem CID
|
|||
| RTECS 번호 |
|
||
| UNII |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 C2HCl3 | |||
| 몰 질량 | 131.38 g/mol | ||
| 겉보기 | Colorless liquid | ||
| 냄새 | 클로로포름-like | ||
| 밀도 | 1.46 g/cm3 at 20 °C | ||
| 녹는점 | −84.8 °C (−120.6 °F; 188.3 K) | ||
| 끓는점 | 87.2 °C (189.0 °F; 360.3 K) | ||
| 1.280 g/L | |||
| 용해도 | Ether, 에탄올, 클로로포름 | ||
| log P | 2.26 | ||
| 증기 압력 | 58 mmHg (0.076 atm) at 20 °C | ||
|
자화율 (χ)
|
−65.8·10−6 cm3/mol | ||
|
굴절률 (nD)
|
1.4777 at 19.8 °C | ||
| 점도 | 0.532 mPa·s | ||
| 약리학 | |||
| N01AB05 (WHO) | |||
| 위험 | |||
| 주요 위험 | Harmful if swallowed or inhaled, carcinogenic |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Mallinckrodt Baker |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 420 °C (788 °F; 693 K) | |||
| 폭발 한계 | 8-10.5% |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
LC50 (median concentration)
|
8450 ppm (mouse, 4 hr) 26300 (rat, 1 hr) |
||
|
LCLo (lowest published)
|
2900 ppm (human) 37,200 ppm (guinea pig, 40 min) 5952 ppm (cat, 2 hr) 8000 ppm (rat, 4 hr) 11,000 (rabbit) |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
PEL (허용)
|
TWA 100 ppm C 200 ppm 300 ppm (5-minute maximum peak in any 2 hours) | ||
|
REL (권장)
|
Ca | ||
|
IDLH (직접적 위험)
|
Ca [1000 ppm] | ||
| 관련 화합물 | |||
| Vinyl chloride | |||
|
관련 화합물
|
클로로포름 1,1,1-Trichloroethane 1,1,2-Trichloroethane |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트라이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IUPAC의 이름: trichloroethene)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 산업 용매로 흔히 사용되는 할로겐화탄소이다. 달콤한 향이 나는 무색의 불연성 액체이다. 클로로텐으로 알려진 비슷한 1, 1, 1-트리클로로에탄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산업에서는 TCE, trichlor, Trike, Tricky, tri 등의 이름이 사용된다. 다양한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Trimar와 Trilene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트라이클로로에틸렌은 환자 수백만 명에게 휘발성 마취제로서, 또 흡입 조산 진통제로 사용되었다.
산업에서 트라이클로로에틸렌의 유출로 인한, 지하수와 마시는 물의 오염은 인간의 건강에 주된 문제이며 수많은 사고와 법정 소송으로 치닫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