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제1형 당뇨병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Entete médecine.png
제1형 당뇨병
다른 이름 Type 1 diabetes, Diabetes mellitus type 1, insulin-dependent diabetes, juvenile diabetes
Blue circle for diabetes.svg
당뇨병을 나타내는 기호.
발음
진료과 내분비학
증상 다뇨증, 목마름 증가, 다식증, 몸무게 감소
합병증 당뇨병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 양호치 못한 치료, 심혈관계 질환, 안구 손상
통상적 발병 시기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기간 장기간
병인 인체가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함
위험 인자 가족력, 실리악 스프루
진단 방식 혈당, A1C
예방 미상
치료 인슐린, 당뇨병식사, 운동
빈도 당뇨병 사례 중 ~7.5%

제1형 당뇨병(第1型 糖尿病, 영어: diabetes mellitus type 1, type 1 diabetes, T1DM) 또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 依存型糖尿病, 영어: insulin-dependent diabetes, juvenile diabetes, IDDM)은 자기면역반응에 의해 췌장 속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랑게르한스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에 의한 정상적인 포도당 저장이 불가능해져서 발생하는 당뇨병의 한 형태이다. 주로 어린 나이에 발병하며, 평생 외부 인슐린에 의존하여야 한다. 전체 당뇨병의 약 2%정도를 차지하는 희귀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 없이 바이러스나 알 수 없는 이유에 기인한 1형 당뇨병은 1B형 당뇨병(특발성 당뇨병)으로 따로 분류되어있다. 일반적인 당뇨병보다 인슐린 분비량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당뇨병케톤산증 등의 급성 합병증에 쉽게 노출되며 인슐린투여 없이는 모든 섭식활동이 제한된다. 주 치료법은 외부에서 주사를 통한 인슐린 투여이며 현재 의학 기술로는 완치할 수 없으므로 이는 대증요법이다.인슐린 투여를 통한 치료이기 때문에 과다투여하거나 평소보다 더 많은 운동을 할 시에 저혈당증에 쉽게 빠지고 반대로 투여량이 부족했거나 섭취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쉽게 고혈당 상태가 되어 합병증이 올 확률을 증가시킨다. 2021년말 미국 보스톤에 희귀병치료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버텍스 제약회사에서 줄기세포로 첫 환자를 완치하는 기적같은 첨단과학 업적을 보고했고 앞으로 4-5년간 임상치료후 상용화 될 희망이 크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