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뇌
장뇌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
(+)-장뇌 / (–)-장뇌
| |
|
| |
| 이름 | |
|---|---|
|
IUPAC 이름
1,7,7-Trimethylbicyclo[2.2.1]heptan-2-one
| |
| 별칭
2-Bornanone; Bornan-2-one; 2-Camphanone; Formosa
| |
| 식별자 | |
|
|
|
3D 모델 (JSmol)
|
|
| 3DMet | |
| 1907611 | |
| ChEBI | |
| ChEMBL |
|
| ChemSpider | |
| DrugBank |
|
| ECHA InfoCard | 100.000.860 |
| EC 번호 |
|
| 83275 | |
| KEGG |
|
| MeSH | Camphor |
|
PubChem CID
|
|
| RTECS 번호 |
|
| UNII | |
| UN 번호 | 2717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 C10H16O | |
| 몰 질량 | 152.237 g·mol−1 |
| 겉보기 | White, translucent crystals |
| 냄새 | Fragrant and penetrating |
| 밀도 | 0.992 g·cm−3 |
| 녹는점 | 175–177 °C (347–351 °F; 448–450 K) |
| 끓는점 | 209 °C (408 °F; 482 K) |
| 1.2 g·dm−3 | |
| acetone에서의 용해도 | ~2500 g·dm−3 |
| acetic acid에서의 용해도 | ~2000 g·dm−3 |
| diethyl ether에서의 용해도 | ~2000 g·dm−3 |
| chloroform에서의 용해도 | ~1000 g·dm−3 |
| ethanol에서의 용해도 | ~1000 g·dm−3 |
| log P | 2.089 |
| 증기 압력 | 4 mmHg (at 70 °C) |
|
손지기 회전 ([α]D)
|
+44.1° |
|
자화율 (χ)
|
−103×10−6 cm3/mol |
| 약리학 | |
| C01EB02 (WHO) | |
| 위험 |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경고 |
| H228, H302, H332, H371 | |
| P210, P240, P241, P260, P261, P264, P270, P271, P280, P301+312, P304+312, P304+340, P309+311, P312, P330, P370+378, P405, P501 |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 인화점 | 54 °C (129 °F; 327 K) |
| 466 °C (871 °F; 739 K) | |
| 폭발 한계 | 0.6–3.5%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
LD50 (median dose)
|
1310 mg/kg (oral, mouse) |
|
LDLo (lowest published)
|
800 mg/kg (dog, oral) 2000 mg/kg (rabbit, oral) |
|
LCLo (lowest published)
|
400 mg/m3 (mouse, 3 hr)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
PEL (허용)
|
TWA 2 mg/m3 |
|
REL (권장)
|
TWA 2 mg/m3 |
|
IDLH (직접적 위험)
|
200 mg/m3 |
| 관련 화합물 | |
|
관련 Ketones
|
Fenchone, Thujone |
|
관련 화합물
|
Camphene, Pinene, Borneol, Isoborneol, Camphorsulfonic acid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장뇌(樟腦, Camphor)는 방향성이 있는 흰색 또는 투명한 색깔의 유연한 고체로,화학식은 C10H16O이다. 장뇌는 아시아(특히 보르네오나 타이완 등지)에서 발견되는 상록수인 장뇌수, 또는 보르네오 삼림의 용뇌수의 목재에서 얻어낸다. 그외에도 말린 로즈마리 이파리 등 박하류도 최대 20%의 장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트레빈 기름을 이용해 합성해 낼 수도 있다. 장뇌는 그 향을 이용해 요리 재료로 쓰거나(주로 인도에서) 방부제, 의료용, 그리고 종교 의식에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