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이미프라민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3-(10,11-dihydro-5H-dibenzo[b,f]azepin-5-yl)-N,N-dimethylpropan-1-ami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0-49-7 |
ATC 코드 | N06AA02 |
PubChem | 3696 |
드러그뱅크 | DB00458 |
ChemSpider | 3568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9H24N2 |
분자량 | 280.407 g/mol |
유의어 | Melipramine; G-22355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94–96% |
단백질 결합 | 86%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Hepatic (CYP1A2, CYP2C19, CYP2D6) |
생물학적 반감기 | 20 hours |
배출 | Renal (80%), fecal (20%) (mostly as inactive metabolites)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C(오스트레일리아) ?(미국) |
법적 상태 | 처방전 필요 (S4) (오스트레일리아) ℞-only (캐나다) POM (영국) ℞-only (미국) |
투여 방법 | Oral, intramuscular injection |
이미프라민(영어: imipramine)은 삼환계 항우울제이므로, 항우울작용과 항콜린 작용을 동시에 갖고 있다. 같은 삼환계 항우울제 계열의 약물인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은 이 약물로부터 합성되었으므로, 어린이의 유뇨증 및 야뇨증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갖고 있음이 임상시험에서 확인되었다.
적응증
- 우울증, 우울상태
- 주야간의 유뇨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