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스마트 헬스케어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스마트 헬스케어 (혹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 기기, 시스템, 플랫폼을 다루는 산업분야로서 건강관련서비스와 의료 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이다. 그리고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 개인이 소유한 휴대형, 착용형 기기나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 등에서 확보된 생활습관, 신체검진, 의료이용정보, 인공지능, 가상현실, 유전체정보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제공되는 개인중심의 건강관리 생태계이다.

개요

지금까지의 헬스케어는 의사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끌어져 왔다. 의사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의료기관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생성되는 정보들을 저장, 관리하려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환자는 수동적이었으며, 생성된 정보는 의료기관에서만 확인 가능하였다. 그러나 현재 헬스케어는 사회변혁의 중심에 있다. 현재의 대응적, 사후적 헬스케어에서 미래 예측(Predictive), 예방(Preventive)의학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환자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에 적합한 맞춤의학(Personalized), 환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의학(Participatory)의 새로운 현상으로까지 나타났다. 헬스케어의 패러다임 변화에는 빅데이터가 큰 영향을 미쳤다. 데이터를 수집 축적해야만, 예방 및 건강증진, 또한 맞춤형 의학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의료데이터 이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습득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실제로 최근 유전자 분석기술의 발달로 인해 유전정보의 확보에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줄어들었다. 다양한 무선센서의 발달, 통신 속도의 향상, 스마트폰의 발달 등으로 외부적인 활동데이터의 습득이 기존에 비해 굉장히 쉬워졌다. 이러한 데이터의 중요성으로 인해 데이터의 수집, 저장, 분석에 대한 기술들 역시 점차 발달하고 있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헬스케어"가 미래 헬스케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데이터 기반으로 질병 예방과 더불어 전반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미래 헬스케어의 핵심기술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 정밀의료, 유전체분석, 재생의료 등이 거론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규제, 기술 문제로 인해 활용이 더디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규제가 개선되고 기술이 보다 발전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예측의학, 맞춤의학이 의료의 핵심영역으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문재인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민간전문위원과 관련 정부부처 합동으로 ‘헬스케어특별위원회’가 설치되었고, 2018년 12월 10일 제9차 회의의 심의를 거쳐 보건복지부가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 전략’을 확정·발표한 바에 따르면,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 체계 운영, 인공지능 활용 신약 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과제를 중점 과제로 삼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 혹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간단히 다시 정리하면, 정보 통신 기술과 보건 의료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각종 정보 기술(IT)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서비스이다.
  • Smart Health Care = U – Health Care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 전국 각지 병원과 헬스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주치의에 의한 맞춤형 개인 건강 관리 가능해진다.
  • 병원 중심의 U-Hospital에서 개인 중심의 Home Health care로 발전됐다.
  • U-Hospital에서 Home Health care로 확장되는 중이다.

종류와 형태

기기로 분류하면 하드웨어 중에서도 개인건강관리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로 나뉜다. 개인건강관리 기기 같은 경우는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의료)기기, 식약처 승인이 필요한 기기가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건강증진 개선을 위해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신호 측정과 모니터링 하는 기기가 있다.

  • 스마트 인솔
  • 직토워크(ZIKTO walk), 웰트
  • 헬스커넥트
  • 파트론

모바일 헬스케어

환자와 의사가 시간ㆍ공간ㆍ장소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의료 서비스를 주고 받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의료 측정 액세서리나, 의료 관련 앱 등을 이용해 개인이 스스로 운동량 심전도ㆍ심장ㆍ혈ㆍ현재 몸의 상태 등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과 헬스케어 융·복합적으로 건강 위험인자를 예측하고 질병을 예방해 의료 비용을 절감하는 헬스케어 패러다임이다.

병의원 어플

이용 편의성을 높여 환자를 확보하려는 병·의원들이 경쟁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작에 뛰어들면서 보건·의료 빅데이터가 진료 예약, 진료내역 관리, 결제, 실비보험 청구 및 의료기관의 처방전 발급 기능까지 해결하는 포맷으로 발전하면서 구축되고 또한 활용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유선통신 및 모바일 인터넷, 센싱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실시간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평상시 개인의 가정에서도 개인의 생체데이터 수집을 통해 건강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remote patient monitoring)’ 시스템구축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되면, 개인의 생체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의료기관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생체정보를 토대로 사전 진단 및 예측, 능동적인 예방 조치, 맞춤형 질병치료, 그리고 퇴원 후 감염·재발 방지를 위한 홈케어가 가능해지고 이는 기존 의료시스템 내의 비효율성 진료 등을 제거하고, 예방적 건강관리 및 맞춤형 질병치료 실현을 통한 의료비 절감 및 환자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논쟁점

전자처방전

병의원에서 전자처방전을 내리는 문제에 대해 '전자시스템'에 대한 약국의 거부감, 약사법·의료법 상 위법 의혹, 약국과 시스템업체 간 담합 가능성 등에 논의가 있어 왔다.법적으로는 '의료법 제 18조에 따라 종이 처방전 발급 없이 전자처방전만 발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자시스템에서 소외된 약국은 처방전을 원천적으로 받을 수 없어 매출에 영향을 받게 되며, 처방전 접수원의 인건비만 투자하면 되었던 것에서 전산 시스템 설치 투자비용까지 들여야 하는 데다 건당 처리 수수료까지 붙을 수 있어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피해 사례

아이엠에스 헬스 사건

약국과 병원에서 사용하는 처방전 프로그램 업체인 약학정보원이 환자들의 빅데이터를 팔아 넘겼고, 다국적 빅데이터 업체인 아이엠에스 헬스가 그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사 모아 국외로 빼돌렸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문제의 프로그램이 깔린 약국과 병원을 이용한 환자 모두 피해를 입었으며, 피해 국민이 오천만 인구 중 4,399만명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다. 검찰약학정보원을 압수수색한 때가 2013년 12월이었고, 약학정보원과 한국아이엠에스 헬스 관련자 등 24명이 기소된 것이 2015년 7월이다. 피고는 처방전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했으니 누군지 알아볼 수 없다며 무죄를 주장했고, 빅데이터 규제를 완화하라는 산업체의 목소리만 커지고 있다. 현재 이 사건은 2018년 말까지도 형사재판의 1심도 끝나지 않은 채 재판이 아주 천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윤리 강령

같이 볼까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