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ы используем файлы cookie.
Продолжая использовать сайт, вы даете свое согласие на работу с этими файлами.

메디나충증

Подписчиков: 0, рейтинг: 0

Entete médecine.png
메디나충증
Dracunculiasis
Dracunculus medinensis.jpg
진료과 감염내과, 기생충학, 열대의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메디나충증, 용선충증, 드라쿤쿨루스증(dracunculiasis), 드래컨큘러스증, 기니충병(guinea worm disease/GWD)은 메디나충에 의한 감염이다. 메디나충 애벌레에 감염된 지각이 포함된 물을 마실 때 인체에 감염된다. 초기 증상은 없다. 한 해쯤 지난 뒤 암컷 벌레가 피부 안에 물집을 형성할 때(보통은 다리 위) 고통스럽게 불타는 느낌으로 발전한다. 벌레는 수주에 걸쳐 피부 밖을 나온다. 이 기간 동안 걷거나 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질병 자체로 인하여 죽음으로 이어지는 일은 매우 드물다. 하지만 제거 과정에서의 노동 수입 감소 및 적절한 의료조치가 없을 경우 발생하는 합병증은 경제적 어려움을 유발한다.

용어

메디나라는 도시에서 매우 높은 확률로 발생함에 따라 "medinensis"이라는 학명이 만들어졌다. 서아프리카의 기니 해안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하여 "기니충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박멸을 위한 노력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1980년 메디나충 박멸 계획을 발표한 이래 현재까지도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인간 증례는 연간 수십 건 이하로 박멸을 눈앞에 둔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으나, 2012년 예기치 않았던 개와의 교차감염을 시작으로 동물감염 사례가 여럿 보고됨에 따라 동물간 감염을 막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부 링크



Новое сообщение